Algorithm/Data Structure, Algorithm

[알고리즘] 완전탐색(Brute-Force)

SH_Roh 2021. 6. 7. 20:52
반응형

완전탐색이란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일일히 나열하면서 계산하는 방법이다. 이는 100%의 확률로 문제의 답을 찾아낼 수 있는 방법이다. 하지만 완전 탐색은 답으로 가능한 경우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이용하기가 어려우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문제인지 잘 생각해보고 쓰는 것이 좋다.

 

아래는 완전 탐색을 이용할 수 있는 예제들 정리 (풀어볼 것!)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309

 

2309번: 일곱 난쟁이

아홉 개의 줄에 걸쳐 난쟁이들의 키가 주어진다. 주어지는 키는 1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며, 아홉 난쟁이의 키는 모두 다르며, 가능한 정답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.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231

 

2231번: 분해합

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,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.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,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. 예를 들어, 245의 분해합은 256(=245+2+4+5)이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3085

 

3085번: 사탕 게임

첫째 줄에 상근이가 먹을 수 있는 사탕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.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448

 

10448번: 유레카 이론

프로그램은 표준입력을 사용한다. 테스트케이스의 개수는 입력의 첫 번째 줄에 주어진다. 각 테스트케이스는 한 줄에 자연수 K (3 ≤ K ≤ 1,000)가 하나씩 포함되어있는 T개의 라인으로 구성되어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503

 

2503번: 숫자 야구

첫째 줄에는 민혁이가 영수에게 몇 번이나 질문을 했는지를 나타내는 1 이상 100 이하의 자연수 N이 주어진다. 이어지는 N개의 줄에는 각 줄마다 민혁이가 질문한 세 자리 수와 영수가 답한 스트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18

 

1018번: 체스판 다시 칠하기

첫째 줄에 N과 M이 주어진다. N과 M은 8보다 크거나 같고,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보드의 각 행의 상태가 주어진다. B는 검은색이며, W는 흰색이다.

www.acmicpc.net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182

 

1182번: 부분수열의 합

첫째 줄에 정수의 개수를 나타내는 N과 정수 S가 주어진다. (1 ≤ N ≤ 20, |S| ≤ 1,000,000) 둘째 줄에 N개의 정수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의 절댓값은 100,000을 넘지 않는다.

www.acmicpc.net

 

더보기
반응형